본문 바로가기
Study/Back

Jul.18.Tue.2023 나도코딩 Java 산술연산자

by Jobsoony 2023. 7. 18.
728x90
반응형


> 산술연산자란? 말 그대로 연산하는 것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𖤐 c = a + b (덧셈)
       c = a - b (뺄셈)
       c = a * b (곱셈)
       c = a / b (나눗셈)
       c = a % b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값)

> 정수끼리 연산하게 되면 나오는 값도 정수로 나오게 됨. 나오는 값이 실수일 경우 소수점 뒷자리는 빼고 나옴.
   ex) 1.5=1 / 0.7=0

> 우선순위 연산
연산을 할 때 우선적으로 하고 싶다면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연산하고 싶은 부분에 표시하면 그 부분을 우선적으로 연산하게 됨.
2 + 2 * 2는 곱하기가 우선적으로 적용이 되어 정답이 8이지만
(2 + 2) * 2는 괄호로 우선 연산되기 때문에 6

> 증감 연산이란? 1씩 더해지거나 1씩 빼지는 것 ( ++, - -)
   val = 10
   val = val + 1이라고 해도 되지만 val++ 혹은 ++val이라고 해도 됨.
     𖤐++가 앞에 붙으면 val의 연산을 먼저 하고(1이 붙고) 문장이 수행되고, 뒤에 붙을 경우 문장들이 먼저 수행이 되고 연산이 됨.

//ex1 ++가 앞에 붙을 때
val = 10;
System.out.println(++val); // 11
System.out.println(val); // 11
//ex2 ++가 뒤에 붙을 때
val = 10;
System.out.println(val++); // 10
System.out.println(val); // 11
//ex3 - -가 앞에 붙을 때
val = 10;
System.out.println(—val); // 9
System.out.println(val); // 9
//ex4 - -가 뒤에 붙을 때
val = 10;
System.out.println(val—); // 10
System.out.println(val); // 9


ex) 은행 대기번호표
 

int waiting = 0;
System.out.println(“대기 인원 : “ + waiting++); // 대기 인원 : 0
System.out.println(“대기 인원 : “ + waiting++) ;// 대기 인원 : 1
System.out.println(“대기 인원 : “ + waiting++); // 대기 인원 : 2
System.out.println(“총 대기 인원 : ” + waiting); // 총 대기 인원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