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41

2023.Dec.26.Tue [Java] JPA와 Mybatis의 차이 분명 이해하고 넘어갔는데, 시간이 지나니 모호해지는 개념을 바로잡고자 포스팅을 남긴다. JPA란?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Java ORM의 표준 기술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여기서 잠깐! ORM은? -> Object-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클래스와 관련 DB를 매핑한다는 것 특징 1. 기본적인 CRUD 메서드 제공 -> 데이터베이스와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별도의 SQL을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2.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종속적이지 않아서 코드의 재활용이 가능해서 객체 중심 개발이 가능하다. 3. 엔티티들과 관련된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나 JP.. 2023. 12. 26.
2023.Dec.25.Mon [Java] Optional 클래스와 메서드들 Optional에 대한 개념이 머릿속에 확실히 적립되지 않아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Optional 클래스는 어떤 클래스일까? Optional 클래스는 Java8부터 도입된 클래스로 값이 null 값인지 아닌지 분명하게 다루기 위해 사용한다. 그래서 값이 없을 수 있는 상황 해서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해 주어 더 안전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값이 없을 때 기본 값을 설정하거나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유연성도 제공해 준다. 이렇게 유용한 Optional 클래스가 제공하는 주요한 메서드들을 알아보자! 1. .of(값); 주어진 값으로 Optional 객체를 생성해 준다. Optional optional = Optional.of("값"); 2. .ofNullable(값.. 2023. 12. 25.
2023.Dec.24.Sun [Spring] Annotation 어노테이션 처음 어노테이션을 클래스에 붙이기 시작했을 때 왜 붙여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어서 정리하고자 글을 적는다. 스프링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이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방식을 제어하고, 동작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좀 더 구체적인 사용 이유로 4가지만 들어보자면 아래와 같다! 1. 가독성과 의미 부여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코드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어노테이션은 해당 기능이 무엇을 하는지를 명확하게 표현해 줘서 코드의 가독성까지 높인다. 2. 빈 관리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과 같은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에게 해당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어야 함을 알려준다. 그래서 스프링은 이를 통해 빈을 생성하고 관.. 2023. 12. 24.
Oct.20.Fri.2023 Java 수업 34일차 sc.next(); 와 sc.nextLine(); sc.nextLine(); 과 sc.next(); 주의점 sc.next는 옆에 Line이 개행문자이기 때문에 엔터 역할을 한다. 그래서 println과 함께 쓸 경우 enter가 두 번 들어간 것과 같아서 값을 입력할 시간도 없이 바로 넘어가 버린다. 또한 nextInt나 nextDouble을 넣고 print만 넣어서 출력하면서 nextLine이 있어도 마찬가지로 입력할 시간 없이 넘어가므로 nextInt나 nextDouble을 입력하고 나서 sc.nextLine();으로 넘어가준 뒤에 입력하는 게 좋다. // 예제코드 // 오류1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운영시간을 업데이트 하세요."); System.out.print("카페 .. 2023. 10. 20.
728x90
반응형